1990~2000년대는 한국 드라마가 본격적으로 성장한 시기이자, 대중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결정적인 시기였다. 이 시기 드라마는 사회 변화, 기술 발달, 그리고 시청자의 감정 코드 변화에 따라 다양한 트렌드를 만들어냈다. 본 글에서는 90년대 한국 드라마의 발전사와 그 속에 숨겨진 트렌드를 심층 분석하며, 오늘날 콘텐츠 산업의 기반이 된 그 시절의 흐름을 짚어본다.1990년대 드라마의 가장 큰 특징은 ‘감성’이었다. 당시의 드라마는 사회 전반에 깔린 경제 성장기 이후의 인간적 결핍과 정서를 섬세하게 다루었다. 대표적인 예로 ‘모래시계’, ‘첫사랑’, ‘별은 내가슴에’ 같은 작품들은 개인의 사랑과 인생의 굴곡을 진한 감정선으로 표현하며 국민적 인기를 끌었다. 이 시기의 드라마는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